시험용으로 개조된 우리공군의 FA-50이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천룡)을 장착하고 시험비행을 하고 있다. 방위사업청 제공
우리 군이 국내 기술로 개발 중인 차세대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천룡’의 비행시험에 성공했다. 이는 향후 한국형 전투기 KF-21과 결합해 적 핵심 시설을 장거리에서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무기체계 구축의 중요한 이정표다.
방위사업청은 25일,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천룡)의 안전분리 비행시험을 공군 제3 훈련전투비행단에서 성공적으로 실시했다고 밝혔다.
■ 항공기서 유도탄 안정적 분리 가능 증명
시험은 FA-50 훈련기를 개조한 시험기에 천룡 유도탄을 탑재해 진행됐으며, 항공기 구조물 및 외부 장착물과의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분리되는지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안전분리 비행시험은 유도탄이나 연료탱크 같은 항공기 부속품이 비행 중 분리될 때 기체 안전성과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점검하는 핵심 절차다.
이륙직전 비행 안정성을 맞추기 위해 더미탄과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천룡)을 장착한 우리공군의 FA-50 시험기. 방위사업청 제공기존 유도탄 시험은 노후화된 전폭기 F-4 팬텀을 개조해 진행해 왔으나, 팬텀 전력이 지난해 6월 모두 퇴역하면서 FA-50이 처음으로 이 임무를 인계받았다.
해당 FA-50은 지난 4월부터 31회 출격(소티)을 통해 조종 안전성, 하중, 환경시험 등의 선행 시험을 거치고 안전분리 비행시험에 투입됐다.
■ 첫 FA-50 개조기 투입…2027년에는 KF-21 시제기 개조해 시험비행 수행
방사청은 향후 시험용 FA-50을 이용해 각종 시험을 이어 나가다가 2027년부터는 KAI가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전투기 (KF-21·보라매) 시제기에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을 탑재해 작전 운용 성능을 최종 검증할 계획이다.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개발 사업은 KF-21에 탑재돼 전쟁 초기 적 후방의 핵심 군사 시설과 장비를 장거리에서 정밀 타격하는 미사일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1차 사업에서는 독일 MBDA사의 타우러스 미사일을 도입했으며, 이번 국내 개발은 2차 사업으로 분류된다.
■ “타우러스 능가하는 성능 목표”…스텔스 설계·항법 기술 적용
2차 사업의 핵심은 외산 무기보다 높은 성능을 갖춘 미사일을 확보하는 것이다. 방사청은 2018년부터 개발에 착수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탐색 개발 과정을 통해 스텔스 설계와 첨단 유도항법 기술을 적용한 운용성 검증을 마쳤으며, 2022년부터는 체계 개발 단계에 돌입했다.
우리공군의 FA-50에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천룡)이 장착된 모습. 방위사업청 제공방사청은 “이번 안전분리 비행시험 성공은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개발의 중요 관문을 통과한 것”이라며 “향후 KF-21과 유도탄의 패키지형 수출로 해외 시장 경쟁력을 키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0